
그동안 우송대학교 특수대학원 보건과학대학에서
오스테오파시 교육과정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하셨고 많은 문의가 있었습니다.
오랜 시간 많은 논의 끝에 드디어 좋은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대학원 (석사)과정과 오스테오파시 전문치료사 연계과정
본 학회(연구회)의 오스테오파시 전문물리치료사 과정을 우송대학교 특수대학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 전공자에게 석사과정과 동시에 진행
우송대학교 대학원 졸업과 함께 오스테오파시 전문물리치료사 자격 취득 가능
임상에서 최신 지견과 안전하고 정확한 오스테오파시 도수치료 적용 가능 온라인 과정 (MEDSHARE)
본 학회(연구회)와 온라인 교육을 위한 협약을 맺은 단체인 “메드쉐어’의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시공간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질 높은 온라인 교육을 받을 수 있음
대학원 과목의 온라인 교육과 관련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오프라인 과정 (우송대 대학원)
본 학회(연구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오프라인 교육 과정을 우송대학교 보건복지 대학원(물리치료 전공) 과정에 대입하여 적용
현재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물리치료전공) 과정 = 6과목 15주 과정 3시간 = 270 시간
오프라인 과정 중 Osteopathy in the Cranial Field 및 Osteopathy in the Visceral Field 과목의 이수는 대한정골물리치료학회(연구회) 특강(주말 이용, 사전 공지, 총 20시간)을 통해 이수할 수 있도록 진행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물리치료전공) 재학생의 경우,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대한정골물리치료연구회의 오스테오파시 전문치료사 과정
1. 대학원 과정에서 이수한 과목을 자격취득 온∙오프라인 시수로 인정
CSP Somatic Dysfunction
TSP Somatic Dysfunction
LSP Somatic Dysfunction
Pelvic+Sacrum Somatic Dysfunction
U/E & L/E Somatic Dysfunction
많은 물리치료사 선생님들께서 학부과정 이외에 석사, 또는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지식을 넓히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계십니다.
보통 석사과정이 짧게는 4학기, 길게는 5학기로 구성되어 있고
여러 다양한 질 좋은 학회의 수업은 1년 이상 정도의 과정들이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 [석사 과정(석사학위) + 전문 물리치료사 과정(자격취득)]을 통합하여
미래를 준비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은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좋은 기회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대학원으로 문의 해주시길 바랍니다.
대학원 관련 문의처 [카카오채널]
[대학원 문의 양식]
이름 : 직업 :
연락처 :
문의내용: